하이로프 클라이밍 체험 모습
대구 달서구청이 약 10억 원을 투입해 조성한 하이로프 클라이밍장이 개장 두 달 만에 운영을 중단하면서 공공 예산 낭비와 사업 기획 부실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이 시설은 달서구와 대구교통공사가 지난 2월 업무협약을 맺고 추진한 공동 사업으로, 도시철도 2호선 용산역 남쪽 광장에 하이로프와 클라이밍 체험 공간을 조성해 지난 3월 문을 열었다. 특히 높이 12.3m의 집라인, 자유낙하 등 고공 체험 코스를 갖춰 지역 내 첫 공공 하이로프 시설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운영을 맡은 민간 위탁업체가 지속적인 운영 적자를 이유로 지난 6월 1일 계약 해지를 통보하면서, 개장 두 달여 만에 사실상 휴장 상태에 들어갔다.
하이로프 클라이밍 체험 모습
달서구에 따르면 3~5월 동안의 총 수입은 약 1,490만 원으로, 같은 기간 지출된 임대료 및 유지관리 비용 1,360만 원과 거의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시설 주변에 아파트 단지와 학교가 위치해 일정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제 이용률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시설 인근에서 진행되는 기존 분수대 철거 공사로 인해 재개장 일정도 불투명해졌다.
이번 사례는 공공시설 투자 과정에서 수요 예측, 사업 타당성 검토, 운영 구조 설계 등 전반적인 기획과 실행의 체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보여주는 사례다.
행정과 운영 주체가 이원화된 구조 속에서 사업의 지속 가능성과 운영 효율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단기간의 휴장이 시민 신뢰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유사 공공사업 추진 시 보다 철저한 사전 검토와 사용자 중심의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과제를 남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