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추워지면 수족냉증 치료 문의가 많다. 수족냉증은 다른 사람들이 추위를 느끼지 않는 환경에서도 손발의 냉감을 느끼고 저림, 통증 등을 호소하는 질환이다. 손발이 시려 잠 잘 때도 양말을 벗지 못하고, 손이 차갑다못해 끊어질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는 이 질환은 기온이 낮아지면 증상이 더욱 심해져 겨울철 수족냉증 환자들의 고통이 더욱 깊어진다.
한의학에서 수족냉증은 혈액순환 문제로 발생한다. 다만 어떤 문제로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수족냉증이 발생했느냐에 따라 치료방법이 달라진다. 손발뿐 아니라 체온 자체가 낮은 경우도 있고, 상체로는 열이 많아 얼굴에 땀이 나고 더위를 타는데 손발은 차가운 경우도 있다.
수족냉증의 원인을 크게 실증과 허증으로 나눌 수 있는데, 허증(虛症)은 말 그대로 허약해 혈액을 공급할 수 없어 발생한다. 소화기가 약하거나 신양(腎陽)이 부족해 신진대사가 떨어져 있을 수 있는 경우는 허증에 속한다. 실증(實症)은 스트레스나 어혈, 습담(노폐물) 등으로 혈액순환이 막혀서 발생한다. 간혹 손발이 차갑다고 따뜻한 성질의 한액재를 임의로 달여먹는 경우도 있는데, 열은 있지만 막혀서 소통이 되지 않는 사람에게 따뜻한 약재만 쓴다면 오히려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수족냉증을 개선하기 위해 함께 살펴봐야 하는 것은 복부의 냉증이다. ‘두무냉통, 복무열통(頭無冷痛, 腹無熱痛)’이란 말이 있다. ‘머리는 차가워서 생기는 병이 없고, 배는 따뜻해서 생기는 병이 없다’는 뜻으로, 복부가 차갑다는 것은 소화흡수능력이 떨어지고 기초대사가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수족냉증 환자들이 소화기장애를 함께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복부냉증은 식욕부진, 소화불량, 복통, 설사, 방광염, 여성의 경우 생리통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
수족냉증은 생활관리도 중요하다. 몸을 항상 따뜻하게 유지하며, 특히 복부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반신욕, 족욕, 복부 찜질을 하는 것이 좋다.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숨이 찰 정도의 중등도 강도의 심폐운동과 허벅지와 종아리근육 강화운동이 도움이 된다. 흡연이나 지나친 카페인 섭취, 차가운 식음료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체온을 떨어뜨릴 수 있어 삼가는 것이 좋다.
보생조한의원 원장 조현정
대구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607 / 보생조한의원 ☎053-56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