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원에서 자주 활용되는 한약재 중 하나인 쑥은 성질이 따뜻하여 몸이 냉(冷)해 생기는 소 화불량, 복통, 수족냉증, 생리불순, 월경통, 난임 등을 치료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쑥은 다른 약재와 함께 달여 탕약으로, 환(丸)형태로 복용하기도 하지만, 뜸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침 이구 삼약(一鍼 二灸 三藥)이라는 말이 있다.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3대 치료법을 의미한다. 한의학하면 유명한 한약보다 침과 뜸이 1과 2에 붙어있는 것은 달이는데 시간이 걸리는 탕약보다 먼저 침과 뜸으로 질환을 치료한다는 뜻으로 생각할 수 있다.
쑥뜸치료를 하면 배를 따뜻하게 한다와 같은 온열자극만 생각하게 된다. 실제로 뜸치료는 몸을 따뜻하게 하여 기혈(氣血)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근육의 긴장을 풀어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시킨다. 이런 치료는 쑥뜸이 아니라 전기온열기구로도 할 수 있다. 하지만 뜸은 온열자극으로 인한 효과 외에도 쑥뜸치료시 NO가 조절되고 WBC(백혈구)수량 및 활동성 증가, 사이토카인 증가 등이 효능이 나타난다¹. 항암치료 후 발생하는 메스꺼움, 구토 등의 부작용을 완화하는데도 뜸치료가 도움이 된다².
체온이 1℃ 올라가면 면역력이 5배 강해진다고 한다.
독감, 코로나 등 호흡기 질환이 기승을 부리는 요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영양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면역체계 활성화에 가장 중요한 체온의 중요성을 아는 사람들은 적다. 차가운 음식을 섭취하고 찬 기운에 몸을 그대로 노출하면서 체온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들이 많다. 체온 저하는 면역력 저하로 이어져 질환에 쉽게 노출되며, 쉽게 낫지 않는다. 주기적으로 쑥뜸치료를 받아 하복부를 따뜻하게 하고 면역체계를 활성화하면, 차가운 기운에 쉽게 노출되는 현대인들의 면역력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¹ 윤해창 외 6. (2015). Trends in Treatment with and Mechanism of Moxibustion in Cancer Patients: A Review. J. Int. Korean Med, 36(3)
² Myeong Soo Lee, Tae-Young Choi, Ji-Eun Park, Song-Shil Lee and Edzard Ernst. (2010). Moxibustion for cancer car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ee et al. BMC Cancer 10(130)
보생조한의원 원장 조현정
대구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607 / 보생조한의원 ☎053-56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