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무와인생지한(有我無蛙人生之恨)이란 말이 있다. 이 말의 유래는 고려시대 말 동국이상국집을 쓴 이규보(李奎報, 1168~1241) 선생께서 몇 번의 과거에 낙방하고 초야에 묻혀 살 때 집 대문에 써놓은 내용이다. 한번은 임금이 단독으로 야행을 나갔다가 깊은 산중에서 날이 저물었는데 다행히 민가를 하나 발견하고 하루 묵을 것을 요청하였다. 집 주인인 이규보는 조금만 더 가면 주막이 있다고 알려주고 재워주지 않았다.하는 수 없이 임금은 대문에 씌여 있는 글귀의 내용을 궁금해 하면서 주막으로 가서 국밥 한 그릇을 시켰다. “나는 있는데 개구리가 없는 게 인생의 한이다.” 이 말이 무슨 뜻일까 곰곰이 생각하며, 국밥을 먹는데 마침 주모가 왔다. “이보게 주모, 저 산속에 사는 사람은 누군가?” 라고 묻자, 과거에 몇 차례 낙방하고 집에서 책만 읽으며 지내는 사람이라 했다. 이 말을 듣고 임금은 다시 발걸음을 돌려 이규보의 집으로 향했다. 하룻밤 재워줄 것을 겨우 승낙 받고 들어가 대문에 써놓은 글의 의미를 물어보았다.그러자 이규보는 옛날, 노래를 잘하는 꾀꼬리와 목소리가 듣기 거북한 까마귀가 살고 있었는데, 하루는 까마귀가 3일 뒤 두루미를 심판으로 하고 자신과 노래시합을 하자는 제안을 했다고 한다. 꾀꼬리는 어이가 없었지만 좋다고 하고 그때부터 밤낮으로 노래연습을 하였다. 3일 뒤 시합에서 너무나 고운 소리로 노래를 잘 부른 꾀꼬리는 당연히 자신이 이긴 줄 알았는데 결과는 까마귀의 승리였다.나중에 알고보니, 까마귀는 두루미가 개구리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고 노래연습은 하지 않고 개구리를 잡아 두루미에게 주었고, 두루미는 노래 솜씨와는 관계없이 까마귀의 손을 들어주었던 것이다.결국 이 말의 의미는 과거 시험에서 실력 있는 자가 발탁이 안 되고 관리들에게 돈을 가져다주거나, 정승의 자식이어야만 발탁이 되는 불의와 불법을 꼬집었던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임금은 이규보의 됨됨이를 알아보고 다음 과거시험을 꼭 볼 것을 당부 한 후 궁궐에 들어와 임시과거를 열 것을 명했고 이규보도 응시하였다. 드디어 시제(試題)가 공개 되었는데 바로 유아무와인생지한(有我無蛙人生之恨)이었던 것이다. 이에 이규보는 지난번에 자신의 집에 들렀던 분이 임금님이었다는 것을 알고 임금이 계신 방향에 큰절을 하고 답을 적어냄으로써 장원급제하여 후일 유명한 학자가 되었다는 일화이다. 결국 올바른 마음(正心)이 연고(緣故)와 정실(情實)을 능히 이길 수 있다. 사필귀정(事必歸正)인 것이다.
구용회 건양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