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4년~2018년간 ‘대상포진(B02)’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5년간 연평균 3% 증가했다.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1.6배가 많고, 50대 이상 진료인원이 전체인원의 63%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대상포진(B02)’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4년 64만 명에서 2018년 72만 명으로 12.4%(연평균 3.0%) 증가했다.
남성은 2014년 25만 명에서 2018년 28만 명으로 12.9%(연평균 3.1%), 여성은 39만 명에서 44만 명으로 12.0%(연평균 2.9%) 증가하여 남녀모두 비슷한 증가율을 보였으나 남성이 다소 높았다. 2018년 ‘대상포진(B02)’으로 진료받은 남성은 전체환자의 39%(28만 명), 여성은 전체환자의 61%(44만 명)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6배 많았다.
2018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50대 환자(17만 7,000명, 24.5%)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15만 3,000명, 21.1%), 40대(11만 3,000명, 15.7%)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50대가 11만 5,000명(26.2%)으로 가장 많이 진료를 받았고, 60대(9만 5,000명, 21.5%), 40대(6만 7,000명,
15.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도 50대 > 60대 > 40대 순으로 남녀모두 중장년층(40~60대)에서 많은 진료를 받았다. 20대는 4만 3,000명(6%), 30대는 8만 4,000명(12%)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20·30대 젊은 층의 대상포진 진료인원도 전체 환자의 약 1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대상포진 진료인원 연평균 증가율은 80대 이상이 9.2%로 가장 크게 증가했고, 60대가 6.5%, 30·40대, 70대도 2.5%~2.7%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대 이하는 연평균 -15.2%, -3.5%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조정구 교수는 ‘대상포진(B02)’ 증상 및 원인, 치료법 및 치료 시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증상: 대상포진은 몸의 한쪽으로 띠 모양의 발진과 수포가 나타나기 때문에, 띠 모양의 포진 즉 대상포진이라고 한다. 머리에서 발끝까지 어느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지만 주로 흉부와 안면부에 호발하고, 대개 하나의 피부 분절에 국한된다. 피부에 발진 수포 등이 나타나기 며칠 전부터 심한 통증이 나타나기 때문에 염좌, 추간판 탈출증, 담, 담석이나 결석, 협심증 등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다.
피부 병변이 나오기 수일 전부터 몸의 한쪽 편 피부가 가렵거나 저리고 쏘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며, 이후 띠 모양으로 발진이나 물집이 생기고 딱지가 앉게 된다. 이러한 피부 병변은 2~4주가 되면 흉터나 거뭇거뭇하게 색소 침착을 남기고 치유가 되나 통증은 신경손상과 신경 전달 체계의 교란에 의해 점점 심해지게 된다. 예리하고, 찌르는 듯한, 전기가 오는 듯한, 화끈거리는 듯한,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옷깃만 스치거나 바람만 닿아도 통증이 생기는 신경병성 양상의 통증이 나타난다. 또한 대상포진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서 뇌수막염, 실명, 안면마비, 청력 손실, 근력 저하 같은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다.
적절한 치료를 한 경우 통증은 피부 병변이 생긴 지 대개 1, 2개월 지나서 사라지게 됩니다. 일부에서는 3, 4개월이 경과해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원인은 신경 손상과 지속적인 통증 신호 자극에 의해 통증 전달체계에 이상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를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라고 하며 통증이 사라지지 않고 영구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 원인: 수두를 앓게 되면 수두를 일으켰던 수두 바이러스는 없어지지 않고, 신경 속에 오랜 기간 동안 잠복하게 된다. 스트레스, 과로, 암이나 당뇨 같은 만성 질환 등은 우리 몸의 면역력을 약화시키고, 면역력이 약해지면, 이 바이러스는 다시 활동을 시작한니다.
▶ 진단·검사: 몸의 한쪽으로 신경분절에 따른 띠 모양의 발진이나 수포 등의 특징적인 피부 증상과 신경병성 통증으로 진단한다. 그러나 드물게 피부 증상이 없이 신경병성 통증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두바이러스에 대한 면역혈청학적 검사를 통해 대상포진을 진단할 수 있다. 단순포진, 벌레 물린 것, 늑간 신경통, 염좌, 추간판 탈출증, 담석, 결석, 협심증 등의 질환으로 오인될 수 있어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 치료방법: 대상포진의 치료 목표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초기에 억제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키며 손상된 신경의 회복을 도와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이환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발진이나 수포 같은 피부 증상이 나온 후 3일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고, 적극적으로 통증을 조절해야 한다. 신경차단술은 통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손상된 신경에 혈류를 증가시켜 손상된 신경의 회복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신경통으로 진행을 최소화 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치료 시작이 빠르면 빠를수록 더욱 효과적이다.
▶ 예방법: 우리 몸의 면역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과로와 스트레스를 피하고, 적당한 운동을 통해 체력을 유지해야 한다. 대상포진 예방백신은 50세 이상 혹은 면역력 저하가 있는 경우에 접종 대상이 된다. 접종을 하게 되면 예방 효과가 있고, 설혹 대상포진이 발생하더라도 증상이 경미하게 되며,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진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자료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