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료환자 2013년 대비 연평균 21% 급증 추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13~2017년 ‘비알코올성 지방간’(비알코올성 지방간염, K75.8)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이 5년간 연평균 증가율 21%로 늘어났으며 남성 환자가 2017년 기준 30,551명으로 여성 환자 20,705명보다 47.6%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가입자 중 최근 5년 사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24,379명에서 2017년 51,256명으로 연평균 증가율 21%을 기록했다.
남성 환자의 진료인원은 2013년 14,278명에서 2017년 30,551명으로 16,273명 늘어나, 여성 환자가 2013년 10,101명에서 2017년 20,705명으로 10,604명 늘어난 것에 비해 진료인원 증가폭이 컸고, 연평균 증가율 또한 21.6%로 여성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 20.2%보다 다소 높았다.
2017년 기준 성별 인원을 보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료인원은 전체 5만 1,000여 명 중 3만 600여 명(59.6%)이 남성 환자이며, 이는 여성 환자 2만 700여 명(40.4%) 대비 약 1.5배에 근접하는 수치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전체 진료인원 중 50대가 1만 2,300여 명(24.1%)으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1만 600여 명(20.7%)으로 뒤를 이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료실인원은 50대에서 최고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은 30.9%(6,391명)로 50대가 많았고, 남성은 23.7%(7,235명)로 40대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대비 진료실인원의 비율을 기준으로 산출한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2017년은 60대 161명이, 50대는 148명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원인으로 진료를 받았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40대가 165명, 여성은 60대가 17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21.1%로 여성 19.6%보다 다소 높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최종원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원인 및 증상, 치료방법 및 예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원인: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의 섭취나 지방간을 초래할 만한 다른 간질환이 없으면서 영상의학 검사나 간 조직검사에서 간 내에서 지방 침착이 확인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남녀 모두 비만,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대사증후군 등이 주요 위험 인자이며, 여성의 경우 고령, 폐경 등도 위험인자로 작용합니다.

▶ 증상: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특정할 수 있는 증상은 없습니다. 다만 일부 환자의 경우 우측 상복부 불편, 피곤함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복부 진찰에서 간비대로 인해 간이 만져지기도 합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간경변으로 진행할 경우 간경변 자체에 의한 여러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진단·검사: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간 내에 지방 변화를 확인하고 다른 원인의 간질환이 없다는 사실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술을 마시지 않거나 일주일에 남성의 경우 210g, 여성의 경우 140g 이하의 알코올을 섭취하며, B형 간염, C형 간염과 같은 간질환 검사에서도 음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간의 지방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의학 검사나 간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합니다.
복부초음파 등 영상 검사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영상의학 검사는 조직검사에 비해 진단 방법이 수월하지만, 간의 지방 침착정도가 적으면 진단이 어려울 수 있고 간의 염증 및 섬유화는 파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혈액 검사에서는 간기능 이상 소견이 보일 수 있는데 AST/ALT가 정상의 2배~5배 정도 상승하는 것이 제일 흔한 소견이며 γ-GT, alkaline phosphatase 같은 검사 수치가 절반 이하의 환자에서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치료방법: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효과가 입증된 약물치료나 치료법은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간 보호약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효과가 뚜렷하게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지방간에 동반되는 인슐린저항성, 비만, 고지혈증, 대사증후군 조절이 중요합니다. 운동, 식이요법, 체중감량 등 생활 습관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고, 당뇨 및 인슐린저항성 치료, 고지혈증 치료도 병행해야 합니다.
체중 감량을 하면 인슐린 감수성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급격한 감량은 간의 염증 및 섬유화를 악화시킬 수 있어 서서히 체중을 줄여가는 것이 좋으며 체중의 7~10% 정도 감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소아:0.5kg/주 미만, 성인:0.45~1.6kg/주 미만)
또 운동도 근육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대사증후군을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중등도(최대 심박수 50~70%) 유산소 운동(걷기, 자전거타기, 조깅, 수영 등)이 좋으며 주 2회 이상, 1회에 30~60분 정도를 권장합니다.

▶ 예방방법: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을 위해서는 지방간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만,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및 대사증후군 등이 위험 요인이므로 이를 관리해야합니다. 운동, 식생활 개선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식생활 개선 방법으로는 과식을 피하고 영양소가 골고루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입니다.
<자료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